반응형
생강 효능 부작용
생강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식용과 약용으로 쓰입니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길이 4~7.6m입니다.
※ 생강 효능
생강은 한방에서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쓰는데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 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생강의 진저롤과 쇼가올은 혈액순환을 활성화하고 혈압과 체온을 정상화해 수족냉증을
개선하고 혈관 내 콜레스케롤을 배출하는 등 동맥경화나 고혈압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감기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해 따뜻한 생강차를 끓여 마시기도 합니다.
그밖에 해독작용, 건위 작용, 몸속 냉기 제거, 갱년기 우울증 극복에 도움을 줍니다.
※ 생강 부작용
생강은 위장활동을 촉진시키고 소화흡수력을 높여주고 위장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는데 위염이나 위궤양 등이 있는 사람은 복통,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니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 임산부의 입덧에 진정을 해줄수 있지만 입덧이 지나고 난 임산부는 많은
생강 섭취는 자궁 수축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생강이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당뇨치료제를 드시는 분들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강은 혈액 응고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항응고제나 항혈소판 약을
드시는 분들은 좋지 않습니다.
호습곤란, 기도폐쇄, 피부질환 등의 알레르기가 있으신 분들도 생강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 생강 활용
뿌리줄기는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소스, 피클 등에 향신료로 사용하기도 하고, 껍질을
벗기고 끓인 후 시럼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합니다.
김치 등 각종 양념류의 부재료로 쓰이고 고기와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하는 향미 채소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반응형
'도움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순 효능 및 부작용 (0) | 2020.12.11 |
---|---|
무지외반증 원인 및 예방법 (0) | 2020.12.04 |
콜라비 효능 부작용 (0) | 2020.11.30 |
당뇨병 예방과 정복하기 (0) | 2020.11.21 |
피부감기 예방과 미용까지 (0) | 2020.09.18 |